국가기술자격에는 기능사, 기사, 기술사가 있으며 그중 기술사는 최상위 등급의 국가기술자격을 말합니다. 기술사 종류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많고, 일일이 찾아보지 않는 이상 어느 분야에 어떤 기술사가 있는지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.
한국산업인력공단 Q-NET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한 총 27개 분야의 기술사 종류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으니 자격증 취득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1. 기술사 연봉
기술사 종류와 경력에 따라 그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기술사 연봉을 얼마라고 단정 지어 말하는 것은 어렵지만, 경력직 구인공고를 기준으로 기술사 연봉을 살펴보면 6~8천만 원 정도라 할 수 있습니다.
회사에 다니면서 기술사 자격을 취득한 경우에는 기술사 자격 수당을 받을 수 있는데요. 공공기관의 경우에는 월 15~40만 원 정도이며, 사기업의 경우에는 월 50~70만 원 정도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즉, 이미 회사에 다니는 직장인이라면 기술사 자격 수당만큼의 연봉 인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2. 기술사 현실
기술사 자격이 있으면 5급 사무관 민간경력채용에 지원할 수 있을 만큼 변호사, 회계사와 같은 전문직 종사자에 속하게 되는데요. 일부 기업에서는 세무사, 노무사 보다 더 높은 자격증으로 인정해 주고 있습니다.
3. 기술사 응시자격
기술사 응시자격은 관련 분야의 기술자격 소지 여부, 관련학과 졸업 여부 등 경력사항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요. 기술사 시험 응시생의 대부분은 해당 분야 기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실무경력을 4년 이상 채운 경우가 많고, 그다음으로는 관련학과를 졸업하고 실무경력을 채운 경우입니다.
① 기술자격 소지자
- 동일(유사) 분야 기술사
- 기사+실무 4년 이상
- 산업기사+실무 5년 이상
- 기능사+실무 7년 이상
- 동일종목 외 외국자격취득자
② 관련학과 졸업자
- 4년제 일반대학 졸업+실무 6년 이상
- 3년제 전문대학 졸업+실무 7년 이상
- 2년제 전문대학 졸업+실무 8년 이상
- 기사(산업기사) 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+실무 6년(8년) 이상
③ 순수 경력자
- 실무 9년(동일, 유사 분야) 이상
4. 기술사 시험방법
기술사 시험은 1차 필기시험과 2차 면접시험으로 진행되며, 각 시험에서 60점 이상을 획득해야만 합격할 수 있습니다. 참고로 필기시험에 합격하면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해 준다고 합니다.
구분 | 시험방법 |
필기시험 |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 |
면접시험 | 구술형 면접시험 |
5. 기술사 시험 난이도
일반적으로 기술사 필기시험 합격률은 10% 내외이며, 면접시험 합격률은 50% 내외입니다. 즉, 필기시험을 통과하는 게 무척 어려운 시험인데요. 기술사 시험 난이도는 상당하여 평균적으로 2년 정도 공부하여 합격하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
6. 분야별 기술사 종류·관련학과
총 27개 분야의 69개 기술사 종류에 대하여 정리하였으며, 기술사 별 관련학과 정보를 함께 기재해 놓았으니 기술사 시험 응시자격을 판단하시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⊙ 생산관리 분야
- 공장관리 기술사 : 산업공학, 산업경영공학 관련학과
- 포장기술사 : 생산관리 관련학과
- 품질관리 기술사 : 공학계열 학과
⊙ 디자인 분야
- 제품 디자인 기술사 : 디자인, 산업디자인, 공업디자인, 공예디자인 관련학과
⊙ 건축 기술사 분야
- 건축구조기술사 : 건축공학, 건축 설계학 관련학과
- 건축 기계설비 기술사 : 건축공학, 건축설비공학, 전기공학 관련학과
- 건축시공기술사 : 건축공학, 전기공학, 건축 시공학 관련학과
- 건축품질시험 기술사 : 건축공학, 전기공학, 건축재료공학 관련학과
⊙ 토목 분야
- 농어업 토목기술사 : 토목공학, 농업토목 관련학과
- 도로 및 공항기술사 : 토목공학, 건축공학, 교통학, 항공교통학 관련학과
- 상하수도기술사 : 토목공학 관련학과
- 수자원 개발 기술사 : 토목공학, 에너지 자원공학 관련학과
- 지적기술사 : 지적학, 지적정보학, 도시계획학, 건축공학 관련학과
- 지질 및 지반 기술사 : 지질공학, 응용지질, 지구물리, 지구과학 등 관련학과
- 철도기술사 : 토목공학, 철도시설 토목학 관련학과
-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기술사 : 도시계획학, 지역개발학, 환경공학, 토목공학, 건축공학 관련학과
- 토목구조기술사 : 토목공학, 건축공학 관련학과
- 토목시공기술사 : 토목공학 관련학과
- 토목품질시험 기술사 : 토목공학 관련학과
- 토질 및 기초기술사 : 토목공학, 지질공학 관련학과
- 항만 및 해안 기술사 : 토목공학, 건축공학, 해양토목, 항만 공학 관련학과
- 해양기술사 : 해양 관련학과
⊙ 조경 분야
- 조경기술사 : 조경학, 원예 조경학, 환경조경학, 녹지조경학 관련학과
⊙ 도시·교통 분야
- 교통기술사 : 교통공학, 도시공학, 도시계획 공학 관련학과
- 도시계획 기술사 : 도시계획학, 도시 및 지역계획학, 환경공학, 토목공학, 건축공학 관련학과
⊙ 채광 분야
- 화약류 관리 기술사 : 자원공학, 토목공학, 화학공학 관련학과
⊙ 기계제작 분야
- 기계기술사 : 기계공학 관련학과
⊙ 기계장비 분야
- 건설기계기술사 : 산업기계공학, 기계설계공학, 기관공학 관련학과
- 공조냉동기계기술사 : 냉동공조 공학, 기계공학 관련학과
- 산업기계설비 기술사 : 산업기계공학, 기계공학, 기계설계공학 관련학과
⊙ 철도 분야
- 철도차량기술사 : 기계공학, 기계설계공학, 동력기계공학 관련학과
⊙ 조선 분야
- 조선기술사 : 선박해양공학, 조선해양공학 관련학과
⊙ 항공 분야
- 항공기관 기술사 : 항공기계공학 관련학과
- 항공기체 기술사 : 항공기계 관련학과
⊙ 자동차 분야
- 차량기술사 : 기계공학, 자동차공학, 자동차 기계공학, 기관공학 관련학과
⊙ 금형·공작기계 분야
- 금형기술사 : 금속공학, 금속재료공학 관련학과
⊙ 금속·재료 분야
- 금속가공 기술사 : 금속공학, 금속재료공학, 재료공학, 재료금속공학, 금형과, 금형설계과, 금속과, 표면처리과 관련학과
- 금속재료 기술사 : 금속공학, 금속재료공학, 재료공학, 재료금속공학 관련학과
- 금속제련 기술사 : 금송 공학, 금속재료공학, 재료공학, 재료금속공학 관련학과
- 세라믹 기술사 : 요업 공학, 재료공학, 화학공학, 고분자공학, 공업화학, 무기재료공학 관련학과
⊙ 용접 분야
- 용접기술사 : 기계공학, 금속공학 관련학과
⊙ 도장·도금 분야
- 표면처리 기술사 : 금속공학, 금속재료공학, 재료공학, 재료금속공학 관련학과
⊙ 정보기술 분야
- 정보관리 기술사 : 모든 학과 응시 가능
- 컴퓨터 시스템 응용 기술사 : 모든 학과 응시 가능
⊙ 식품 분야
- 수산제조 기술사 : 해양 관련학과
- 식품기술사 : 식품공학, 식품가공학 관련학과
⊙ 농업 분야
- 농화학기술사 : 농학 관련학과
- 시설원예기술사 : 원예학과, 관상 원예학과, 환경원예학과, 원예과학과 관련학과
- 종자기술사 : 농학 관련학과
⊙ 축산 분야
- 축산기술사 : 농학 관련학과
⊙ 임업 분야
- 산림기술사 : 임업 관련학과
⊙ 어업 분야
- 수산양식 기술사 : 해양 관련학과
- 어로 기술사 : 해양 관련학과
⊙ 안전관리 및 전기 분야
- 가스기술사 : 기계공학, 화학공학, 가스 냉동학, 가스산업학 관련학과
- 건설안전기술사 : 산업안전공학, 건설안전공학, 건축공학 관련학과
- 기계안전기술사 : 안전공학, 산업안전공학, 보건안전학 관련학과
- 산업위생관리 기술사 : 보건관리학, 보건 위생학 관련학과
- 소방기술사 : 소방학, 소방안전 관리학 관련학과
- 인간공학 기술사 : 산업공학, 안전공학과 관련학과
- 전기안전기술사 : 산업안전공학, 전기공학 관련학과
- 화공안전기술사 : 산업안전공학, 화학공학 관련학과
⊙ 비파괴검사 분야
- 비파괴검사 기술사 : 금속공학, 금속재료공학, 재료공학, 재료금속공학 관련학과
⊙ 환경 분야
- 대기관리 기술사 : 대기과학, 대기환경공학 관련학과
- 소음진동 기술사 : 환경공학, 환경시스템공학, 대기 소음 진동학 관련학과
- 수질관리 기술사 : 환경공학, 수질 폐기물, 환경시스템공학, 환경공업, 화학 관련학과
- 자연환경관리 기술사 : 환경 관련학과
- 토양환경기술사 : 환경 관련학과
- 폐기물 처리 기술사 : 환경공학 관련학과
⊙ 에너지·기상 분야
- 기상예보 기술사 : 천문학과, 천문기상학과, 천문 대기과학과, 대기과학과 관련학과